
[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 세계적 MICE 도시의 저력을 입증하고 있는 서울시가 전 세계 1,500여 개 도시 중 국제회의 개최 실적 세계 6위를 달성했다. 전년보다 4계단 상승한 결과로 2005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순위다. 아시아‧태평양지역만 두고 보면 싱가포르에 이어 2위다.
□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대표이사 길기연)는 국제컨벤션협회(International Congress and Convention Association, ICCA)가 발표(네덜란드 현지시간 20일(화) 오후 3시)한 2024년 국제회의 시장 분석 결과 지난해 총 124건의 국제회의를 개최해 전년(’23년)대비 21건 증가한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
○ ‘국제컨벤션협회’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기반을 둔 세계 최대 규모의 컨벤션 분야 기관으로 매년 전 세계 도시들의 국제회의 시장을 분석해 전세계 국제회의 개최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 그 결과 서울은 전 세계에선 6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선 2위를 기록했다. 주요 도시별 순위는 ▴1위 오스트리아 비엔나(154건), ▴2위 포르투갈 리스본(153건), ▴3위 싱가포르(144건), ▴4위 스페인 바르셀로나(142건), ▴5위 체코 프라하(131건)다.
□ 특히 서울의 의학분야 국제회의 개최 순위는 세계 4위로 세계적인 의료회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다. 국내 의료산업 성장과 국제적 위상을 반영한 결과다.
○ 의학 분야 국제회의 개최 순위는 ▴1위 바르셀로나(56건) ▴2위 비엔나(46건) ▴3위 리스본(45건) ▴4위 서울(43건) ▴공동 5위 프라하·싱가포르(각 31건)다.
□ 서울시는 작년 미국 프리미엄 비즈니스 관광전문 매체 ‘글로벌 트래블러’에서 10년 연속 최고의 MICE 도시로 선정되면서 ‘명예의 전당(Hall of Fame)’에도 등재됐다. 올해는 같은 매체에서 주관한 ‘2025 레저 라이프 스타일 어워즈’에서 ‘최고의 아시아 레저 목적지’ 부문 1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마이스(MICE): 기업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s), 컨벤션(Convention), 전시(Exhibition), 국제이벤트(Event)
□ 앞으로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은 ‘굴뚝 없는 황금 산업’인 MICE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올해 95억 원을 투입하여 세계 마이스 시장을 선도하는 미래 혁신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행보를 이어간다. 또한 전시‧컨벤션 시설 확충을 위해 2031년까지 잠실종합운동장 일대, 서울역 북부 역세권 MICE 클러스터를 조성할 방침이다.
○ 시는 마이스 지원사업 ‘플러스 서울(PLUS SEOUL)’을 기반으로 MICE 행사 유치·개최 시 분야별 종합지원을 시행하고, 해외 MICE 전시회 참여나 현지 프로모션 등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올해는 경제‧의약학 등 국제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중대형 국제회의를 집중 유치할 계획이다.
○ 아울러 시는 지난해 11월 개관한 ▴서남권 마곡 컨벤션 센터를 시작으로 ▴도심권(서울역·남산·광화문 일대) ▴동남권(잠실~코엑스)에 쇼핑·문화·관광 등의 시설이 집약된 3개 거점별 ‘MICE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 길기연 서울관광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성과는 서울이 국제회의 개최 도시로서 기록한 순위 중 역대 최고 순위로, 특히 의료분야에서 세계 4위를 차지한 것은 서울의 헬스케어 인프라와 전문성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서울의 차별화된 MICE 자산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구종원 서울시 관광체육국장은 “연평균 8.9%라는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는 세계 마이스 시장에서 서울은 국제회의 개최 6위라는 성과를 달성하며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었다”라며 “이번 순위를 발판삼아 도시 경쟁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도록 국내 마이스 산업 지원을 다각도로 이어가는 한편, 마이스 개최지로서 매력적인 도시 서울을 전 세계 널리 알리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