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0 (월)

  • 흐림동두천 16.5℃
  • 구름조금강릉 13.6℃
  • 구름많음서울 17.9℃
  • 맑음대전 14.4℃
  • 맑음대구 16.0℃
  • 맑음울산 15.5℃
  • 구름많음광주 16.0℃
  • 박무부산 17.6℃
  • 구름많음고창 ℃
  • 구름많음제주 18.6℃
  • 구름많음강화 16.7℃
  • 맑음보은 13.3℃
  • 맑음금산 10.6℃
  • 구름많음강진군 13.2℃
  • 맑음경주시 13.1℃
  • 맑음거제 15.1℃
기상청 제공
닫기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윤혁 교수팀 염증성 장질환 환자, 대변 염증 수치 낮으면 해외여행 중 재발 가능성 낮아

- 여행 전 대변 염증 수치 확인 및 담당 전문의 상담 통해 치료계획 준비 필요해 -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염증성 장질환, 장에 염증 지속되며, 호전과 재발 반복하는 만성 면역성 질환이며, 일상생활에 큰 영향 미쳐

- 근본 원인 규명되지 않은 질환이기에 갑자기 재발 시 의료진 치료 필요, 이 때문에 장기 해외여행 제한돼

- 해외여행 중 염증성 장질환 증상 재발시키는 인자 파악하고자 해외여행 다녀온 환자 94명 대상 연구 실시

- 연구 결과 대변 염증 수치, 동반 질환, 응급실 방문 이력 있는 경우 해외여행 중 증상 재발 가능성 높아

- 생물학제제 치료 중인 환자, 여행 전 주치의와 상담 통해 정맥 주사 일정 조정 및 자가 주사 키트 준비 권장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윤혁 교수팀(신촌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박지혜 교수 공동연구)이 염증성 장질환 환자라도 해외여행을 떠나기 전에 대변 염증 수치(칼프로텍틴)를 확인하고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여행 중 자가 치료를 준비한다면 일반인처럼 해외여행을 다녀올 수 있다고 밝혔다.

 

염증성 장질환은 최소 3개월 이상 장에 염증이 지속되며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는 만성 면역성질환이다. 대표적인 질병은 궤양성 대장염(대장)과 크론병(소화기관)인데, 증상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대변 절박증(변을 참지 못함), 설사, 혈변, 복통 등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질병은 항염증제, 스테로이드, 면역조절제, 생물학제제 등 주로 약물로 치료하지만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치료가 필요하다. 문제는 근본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만성질환이기 때문에 치료가 잘 되는 관해기(완화) 환자라도 갑자기 재발을 경험할 수 있고, 이때 의료진의 빠르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문제는 염증성 장질환 환자는 젊은 층이 다수이기 때문에 여행 등 해외로 나가는 경우가 잦은데, 증상 재발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아 해외여행이 제한되거나 짧게만 가능했었다.

 

이에 윤혁 교수팀은 해외여행 중 염증성 장질환 증상을 재발시키는 인자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 초 사이에 해외여행을 다녀온 94명의 염증성 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동반 질환 ▲생물학제제 치료 ▲여행 전 대변 염증 수치 ▲비행시간과 여행기간 등 다양한 인자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증상 재발을 겪은 환자의 비율은 16%였는데, 이들은 다른 환자들에 비해 대변 염증 수치가 높았으며, 고혈압이나 당뇨 등 동반 질환을 앓고 있었고 응급실 방문 이력이 있었다. 반면,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됐던 면역조절제 및 생물학제제 투여 여부, 비행시간 및 여행기간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염증성 장질환 환자들은 여행 전 대변 염증 수치와 동반 질환을 확인하고 담당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여행 중 치료계획을 잘 준비한다면 일반인과 동일하게 해외여행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혁 교수는 “염증성 장질환 환자는 언제 증상이 악화될지 모르기 때문에 그동안 해외여행에 대한 두려움이 많았다”라며, “관해기 상태이고 대변 염증 수치가 높지 않으면 큰 걱정 없이 해외여행을 다녀와도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생물학제제 치료를 받는 경우에는 정맥 주사 일정을 조정하거나 자가 주사 키트를 여행 시 챙겨가야 하므로 여행 전에 미리 주치의와 상담을 권장한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 연구는 SCIE 국제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 1월 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프로필 사진
김시창 기자

타임즈 대표 김시창

PHOTO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