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성남의 미래, 100인 시민의 지혜로 길을 찾다
성남시정연구원은 17일 성남시청 한누리실에서 시민 100명이 참여한 가운데 「체감형 정책 제안 시민 원탁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원탁회의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행사로, 민선8기 시정 성과에 대한 시민 인식을 공유하고,
시민 삶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정책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분야별 테이블은 사전 신청한 시민들과 정책 관련 부서 팀장, 성남시정연구원 소속 박사급 연구진으로 채워졌다.
데이터로 공감하고, 토론으로 길을 찾다
행사는 연구원에서 실시한 ‘성남시민 1,000명 대상 삶의 질 및 정책 체감도 조사’ 결과 공유로 시작되었다.
참가자들은 행사장 입구에 마련된 ‘내 마음 속 원픽 정책’ 스티커 투표 패널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조사 결과를 비교하며 의견을 나누었다.
연구 결과, 시민들은 ‘생활/안전’(54.0%), ‘복지’(48.3%), ‘경제/산업’(42.3%) 분야를 가장 중요한 세 가지 핵심 영역으로 꼽았다.
정책별로는 ‘독감, 대상포진 접종비 지원 및 치매 검사비’, ‘야탑시외버스터미널 정상화’, ‘기후동행카드 확대 적용’,
‘성남사랑상품권 특별 발행’ 등 일상과 밀접한 정책들이 높은 체감도와 중요도를 동시에 기록했다.
아울러 시민들은 ‘성남시의료원 운영방식 개선’과 ‘오리역 일대 제4테크노밸리 개발’이 도시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길 바라고 있었다.

연령대별로는 청년층은 ‘청년 올패스’, ‘청년 전월세 및 이사비 지원’을, 65세 이상 고령층은 ‘명품 탄천 조성’, ‘맨발 황톳길 조성’ 등을 주요 선호 정책으로 선택했다.
시민의 목소리, 정책의 중심에 서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개회사를 통해 “정책의 실수요자인 시민들의 평가와 정책 제안을 적극 반영하여, 시민께 돌려드리는 더 나은 정책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후 신 시장은 보건 분야 테이블에 직접 참여해 시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시정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을 이어갔다.
9개 분야별 원탁토의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보건 분야에서는 독감 등 예방 접종 사업을 가장 체감도가 높은 사업으로 평가했으며,
이뿐만 아니라 자궁경부암 예방, 비만 치료제 등에 대한 지원과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확대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안되었다.
또한 도시 분야에서는 성남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청년 및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지원과 재개발 규제 완화 등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 밖에 ‘터널 내 신호등 설치’와 ‘탄천 자전거 쉼터 조성’ 등 시민 일상에 실질적인 편익을 주는 아이디어도 활발히 논의되었다.
성남시정연구원은 이날 원탁회의에서 수렴된 시민들의 의견을 면밀히 분석하여,
현재 진행 중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성남시 체감형 도시 브랜딩 강화 방안」 최종 보고서에 담아 발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