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닫기

포토뉴스

고용노동부, 근로기준법 상 일주일의 기준은?

 

[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근로기준법 상 일주일의 기준은 언제일까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입사일 기준?

 

근로기준법 상 1주란?

- 근로기준법 제2조1항제7조를 보면

“1주란, 휴일을 포함한 7일을 말한다.” 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원칙적으로는 입사일 기준으로 7일이 맞습니다.

 

만약 근로자 수가 많다면 입사일이 각기 달라 관리가 어렵겠죠?

그럴 땐 노무 관리 편의상 단체협약·취업규칙 등으로 1주의 시작일로 통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요일을 기준, 연속 7일을 1주로 볼 수 있습니다.

 

나는 주휴일 다음날이 아닌 다른 날에 입사를 했는데?

 

만약 사업장에서 일요일을 주휴일로 정하고 있는 경우 주중 입사자의 입사 첫 주는 일주일 동안 개근을 했다고 보기 어렵지만 1주일(7일)에 1회 이상의 주휴일을 부여해야 하므로 노무 관리 편의상 일요일에 주휴수당을 지급합니다.

* 수요일 입사 - 다음주 화요일 퇴사 : 개근 시 주휴수당 1일 분 지급

PHOTO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