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에서 활동 중인 한신 의원(더불어민주당, 성북구)은 지난 20일 제327회 정례회 4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서울시의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도시계획의 중요성과 관련 대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 한 의원은 “2024년 8월 기준, 서울시민 중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8.96%에 달하며, 초고령사회 진입이 목전에 와 있다”고 지적했다.
□ 한 의원은 “고령화 문제는 복지 측면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 설계와 계획 전반에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며 “고령층의 주거 환경, 경제적 어려움, 독거노인 문제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도시계획 수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이어 서울시가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자치구별 도시계획 간 조율 및 통합적인 실행을 주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 의원은 “25개 자치구가 각자 계획을 수립하고 있지만, 정책 우선순위에서 사업성이 강조되면서 고령층 문제에 대한 종합적 접근이 미흡하다”며, 서울시가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조화로운 도시계획을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또한 한 의원은 “고령화는 도시 설계에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라며, 고령층이 안전하고 자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주거 환경과 교통, 복지 시스템 설계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서울시는 고령층의 라이프 스타일을 이해하고, 물리적인 생애주기에 맞춘 맞춤형 도시계획을 적극적으로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한 의원은 초고령사회라는 새로운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시와 자치구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가 자치구의 부족한 인적·재정적 자원을 지원하고, 고령층 중심의 지역공동체 설계와 실행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마지막으로 한 의원은 “초고령사회는 우리 사회가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과제”라며, “서울시와 자치구는 시민 모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