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경기 하남시(시장 이현재)가 ‘서울 30분 도시’를 향한 교통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현재 하남시장이 민선 8기 핵심 공약으로 내세운 광역 교통망 구축 사업과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이 잇따라 가시화되면서 수도권 동부의 교통 중심지로 도약하는 발판이 마련되고 있다.
하남시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총 3267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32년까지 7개 광역도로망을 단계적으로 완공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하남 시민의 서울 출퇴근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상습 정체 구간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핵심 사업은 하남과 서울을 직접 연결하는 ‘황산~초이간 도로(4차로)’ 신설이다. 이 도로가 2032년 개통되면 하남 원도심의 교통 흐름이 개선되고 강동구 천호대로까지 직결하는 연장 노선도 함께 추진된다. 서부권에서는 ‘동남로 연결도로’ 신설과 ‘서하남로’ 8차로 확장 사업이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평균 통행 속도가 시속 33.8km에서 36.4km로 향상될 전망이다.
또한 객산으로 단절됐던 춘궁동과 천현동을 잇는 '객산터널~국도43호선 도로(4차로)'가 2031년 개통될 경우 두 지역 간 이동 거리가 4.0km에서 2.5km로 줄어든다. 국도43호선 하남IC~하산곡삼거리 구간은 4차로에서 6차로로, 서하남IC 교차로는 10차로에서 11차로로 확장된다. 미사강변도시에는 강일IC 우회도로, 올림픽대로 확장(10차로), 미사IC 램프 신설 등 총 422억 원 규모의 교통 대책도 추진된다.
하남시는 이번 사업을 교산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의 핵심으로 보고 과거 ‘선 입주, 후 교통’의 한계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신도시 추진단(T/F)을 구성, LH·GH와 긴밀히 협력하며 사전 대응에 나서고 있다. 7개 노선이 모두 완성되면 황산사거리 정체가 해소되고 천호대로 통행 속도가 시속 10.4km에서 13.6km로 개선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하남시가 숙원 사업으로 추진해온 송파하남선(지하철 3호선 연장)이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로부터 최근 기본계획 승인을 받았다. 송파구 오금역에서 하남시청역까지 총 11.7km 구간에 1조 8,356억 원이 투입되며 2032년 개통을 목표로 한다.
총 6개 정거장이 신설되는 가운데 특히 104정거장(가칭 신덕풍역)은 기존 계획보다 340m 북쪽으로 이전돼 하남드림복합환승센터와 수직 환승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덕풍동 및 교산신도시 북측 주민의 접근성이 대폭 향상될 전망이다. 현재 버스로 약 70분이 소요되는 하남 교산~강남 고속터미널 구간은 철도 이용 시 약 40분으로 단축될 전망이다. 따라서 출퇴근 시간 30분 이상 단축 효과가 기대된다.
이처럼 이 시장은 취임 이후 줄곧 교통은 곧 삶의 질이라는 신념 아래 교통 인프라 확충에 집중해왔다. 이 시장은 하남의 성장 핵심은 서울 접근성과 광역 연결성에 달려 있다며 도로·철도·대중교통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서울 30분 도시’, 나아가 ‘수도권 동부 교통 허브’ 실현을 위해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시장은 “송파하남선 기본계획 승인은 하남시 광역철도망 구축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특히 신덕풍역 북측 이전을 통해 시민 이용 편의성을 최대화한 가운데 앞으로도 역사 출입구 위치 등 세부 설계 단계에서 시민 의견을 적극 반영할 것"이라고 전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