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안성시시민활동통합지원단 공익활동지원센터가 안성이주민인권모임과 함께 기획하고 공동주최한 지역이슈 원탁회의 ‘다(多)문화 안성in’가 지난 15일 이주민 30여명 등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공론장은 안성 20만 인구 중 10%를 차지하는 이주민들의 안성생활을 돌아보고,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찾기 위해 마련했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20년차 이주민부터 중도입국한 고려인 학생들, 결혼이민 여성들까지 다양한 이주민들이 참석하여 자신들의 이야기를 공론장 각 모둠에서 자유롭게 이야기했으며, 행사에 함께한 안성시 공무원과 이주민지원센터 등 활동가들과 허심탄회한 시간을 가졌다.
행사에 참여한 러시아인 최예브기니씨는 “안성에 터를 잡고 살아가는 고려인들이 많다. 이들이 안성에 정을 붙이고 살아가는데 안성분들의 도움이 절실하다”며 “아픈 역사로 대한민국을 떠나야 했지만 결국 부모의 나라로 돌아와 살고자 하는 이들을 따스하게 품어주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중도입국 학생들을 대표한 비룡중학교 학생은 “언어를 새로 배우는 것이 힘들다. 학교에서도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지만 학생 개개인별로 수준이 다른데, 이로 인한 상급학교 진학 등이 어렵다. 우리도 노력을 하겠지만 교육청 차원에서 우리에게 맞는 교육과정을 추가하거나 별도의 원어민 교사를 확충해 주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공론장은 5개의 모둠별로 나눠 진행됐으며, 각 모둠에는 나라별, 연령별 등으로 특화하여 퍼실리테이터들이 한명 한명 의견을 세심히 경청하도록 했으며, 각 모둠에서 나온 의견들은 전체 발표를 통해 참석자 모두와 공유했다.
공론장에서 기조 발제를 한 안성이주민인권모임 정인교 대표는 “이주민이라고 우리와 다른 것이 아니다. 이들도 세금을 내고 지자체 선거 투표권을 갖고 있는 시민이다”며 “안성 인구의 10%를 차지하지만 안성시가 이들에게 혜택을 주는 예산은 3%가 안된다. 이들이 안성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금부터라도 더 많은 정책과 예산투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보라 안성시장도 “오늘 논의하고 공유한 내용이 모두 필요하고 절실한 사항이라고 생각한다. 시장으로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겠지만 더 필요한 것은 이런 자리를 통해 이주민을 안성시민으로 받아들이고 서로 이해하고 도움을 주려는 노력이다”며 “오늘 이 자리에서 나온 얘기를 기본으로 더 많은 자리에서 이주민들과의 대화가 오고가고, 필요한 것들을 차근차근 점검하고 추진하는 우리가 되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공론장은 시민단체와 행정, 안성가족센터, 이주민지원센터는 물론 안성교육청과 일선 학교 등이 함께 모였으며, 각 모둠에서 논의를 진행한 테이블퍼실리테이터(회의촉진자)도 공익활동지원센터에서 양성한 시민활동가들로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논의 구조를 완성했다.
또한, 이날 나온 의견들은 2026년도 안성시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논의 자리에서 추가로 진행하여, 안성 이주민 정착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