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26일 「대형차량 사각지대 안전장치 필요성」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발생한 경찰청 교통사고의 가해 차종별 보행자 교통사고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고 빈도와 심도 측면에서 대형차량의 위험성이 승용차 대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덤프 트럭 등 대형 차량의 우회전 보행사고는 전체 차량 중 14.1%를 점유하고 치사율 또한 승용차의 27배 수준으로 우회전 보행안전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화물 차량 8종의 사각지대 거리를 측정한 결과, 승용차보다 우측 사각지대 범위가 매우 넓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러한 개선하기 위해 사고예방장치 도입 및 운전자의 사각지대를 최소화 하는 등의 안전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이 날 연구소가 발표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대형 차량 사고 발생 현황 및 특성
□ 가해차종별 1만대당 사상자수, 승합차, 덤프 등 대형 차량에서 높아
* 최근 5년(2020년 ~ 2024년) 기준
- 2020년 ~ 2024년 경찰에 신고·접수된 자동차사고를 분석한 결과,
전체 교통사고 사상자는 연간 2,760여명 수준으로,
- 등록대수 1만대당 사상자수는 승용차 보다 승합차, 화물차, 덤프 등
크기가 큰 차량일수록 높게 나타났음
□ 화물·덤프 등 대형 차량의 보행 교통사고 치사율, 승용 대비 2~6배 높아
* 사고 100건당 사망자수
- 2020년 ~ 2024년 경찰에 신고·접수된 보행 교통사고 사상자는
승용차 2,857명, 화물차 1,169명, 승합차 419명, 덤프 등 161명 순이고
- 사고건수 100 건당 사상자수를 나타내는 치사율은 승용차가 2.5인데 반해
화물차와 덤프 등은 각각 5.3, 15.8으로 승용 대비 2~6배 높아
□ 특히 우회전시 치사율은, 덤프차량 등에서 승용차 대비 27배까지 증가
- 덤프 등 대형화물차가 우회전할 때 발생한 보행자 사고 치사율은
승용차보다 27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대형 화물차의 사각지대 중
차량 우측이 특히 넓은 것이 보행사고의 주요 원인이라 볼 수 있음
2. 덤프트럭 등 대형 화물차 사각지대, 승용차 대비 3m 이상 ↑
□ 대형 화물차의 사각지대 거리 측정 결과, 승용차보다 약 3m 이상 길어
- 차종별 주요 차량 1종과 5톤 이상 대형 화물차 8종을 대상으로
사각지대 거리를 실제 운전자를 대상으로 실측
* 대형 화물: 5~11톤(국산 2종, 외산 2종), 15~25톤(국산 2종, 외산 2종)
* 측정 방법: 사각지대 방향별 운전자 직접 시야에 들어오는 거리를 측정
* 측정 높이: 지면, 120cm, 140cm, 150cm, 160cm, 172cm 등
- 대형 화물차의 사각지대 거리는 승용차, SUV, 소형화물차와 비교하여
전방과 좌측은 비슷한 수준이나 우측 사각지대 거리가 약 3m 이상 차이
□ 특히, 어린이의 경우 대형 화물차 우측에 3.2m이상 떨어져야 인지 可
* 측정 높이 120cm: 국내 만 7세 평균 신장(120.8~122.1cm) 고려
- 만 7세 어린이 수준인 120cm 높이의 측정자로 사각지대를 측정한 결과,
승용차와 SUV, 소형화물차 등은 전방/좌측/우측 방향에서 잘 보였으나,
- 대형화물차는 전방 사각지대 평균 1.74m, 우측 사각지대 평균 3.21m로
차량 주변 어린이 보행자에 대한 각별한 주의 요구
□ 대형 화물차 우회전 시 어린이 최소 안전거리는 최소 5m 이상 되어야
- 측정 높이별 대형 화물차의 우측 사각지대 거리 결과, 15톤 이상의
대형 화물차는 '172cm 측정 높이'조차 2m 이내에서 보이지 않았으며,
보행자의 머리 등 운전자 시야에 들어오는 거리를 고려할 때
성인은 최소 3m, 어린이는 최소 5m 이상 떨어져야 인지 가능
□ 대형 화물차의 높은 운전자 눈높이 및 도어패널 높이가 사각지대 원인
- 운전자의 눈 높이(Driver Eye Height)가 평균 2.5m이고 화물차 앞 패널
높이도 평균 1.94m 수준으로 화물차 바로 앞의 보행자가 운전자 시야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으며 보행자 신장이 작을수록 위험 증가
- 특히, 전면 유리 아래 부분에 눈부심방지 반사필름 및 대시보드 위에
놓은 물건들로 인해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가릴 경우 더 위험
- 대형 화물차의 조수석 도어패널 평균 높이는 1.99m이고 불투명하여
운전자의 우측 직접 시야 확보를 저해하는 주요 원인임
- 이를 위해 대형 화물차는 다수의 사이드 미러와 차량 주변 카메라 등
방법으로 시야를 확보하나 간접장치에 의존해야 하는 한계 있어
3. 해외, 대형 화물차 직접 시계 확대 및 첨단장치 의무화 등 시행
□ 대형화물차 운전자 직접 시계 범위 확대를 위해 유럽, 일본 등은
캐빈 높이 하향화 및 도어 하단부 창유리 적용 확대 등 개선 노력
- UN 국제기준, 대형화물차의 사각지대 최소화를 위해 낮은 캐빈, 조수석
도어 패널의 넓은 창 면적 등 직접시계범위를 개선하는 차량 변경 유도
- 영국 런던 교통국, 런던 내 보행자를 보호하고 안전한 차량 운행을 위해
운전자 직접 시계 영역을 6단계 구분 및 첨단장치 여부에 따라 도심 운행
안전 허가증 발급 등의 제도 시행
* 시계 범위에 따라 0~5 Star로 구분, 3Star 이상 허가, 0~2Star 사각지대 첨단장치 추가 장착 必
- 일본, 국제기준을 도입해 '26년 신차부터 첨단장치 의무화 예정이며, 제조사는 이미 대형화물차에 조수석 도어 하단에 작은 유리창 적용 中
□ 유럽, 대형화물차 전방 및 우측 사각지대 경고 장치 의무화 시행 중
- 대형 화물차 우측 사각지대에 있는 자전거탑승자 등 도로이용자를 감지,
우회전 시 우측 사각지대 보행자와의 사고예방을 위한 BSIS 장치와
출발/저속 주행 시 전방 사각지대 경고장치 MOIS 등 의무화 시행 中
* BSIS(Blind Spot Information System, UN R151), 신차 적용: '22.7월~ , 모든 판매차량:'24.7월~
* MOIS(Moving-Off Information System, UN R159), 신차 적용: '22.7월~ , 모든 판매차량:'24.7월~
□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박요한 수석연구원은 “대형 화물차의 우측 사각지대는 일반 승용차량 대비 거리가 3m이상
길어 사고 발생 빈도가 높게 나타나며, 사고시 치사율이 높기때문에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급하다”지적하고,
“대형 차량의 사각지대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형 화물차의 캐빈 높이를 낮추고 조수석 도어 하단 창유리 적용하는 직접 시계 개선과,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우측 및 전방 사각지대에 있는 보행자 등을 인식하는 첨단장치를 장착하는 방법이 있다”고 말하며 “특히 우회전 시 보행자 사고 치사율이 가장 높은 덤프트럭 등에도 사각지대에 대한 사고예방 장치가 보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등이 뒷받침되면 대형차량 사각지대 사고 예방에 큰 효과 있을 것이다"라고 강조하였다.




















